분야별 - 경제
-

현대차,일본 시장 재진출..전기차 온라인 판매
현대차가 23년 만에 일본 시장에 다시 진출합니다. 현대차는 일본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를 늘리기 위해 아이오닉5 등 전기차만 전량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일본 시장에 재진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대차는 앞서 지난 2001년 일본 시장에 첫 진출해 1만5천대를 판매한 뒤 2009년 승용차 부문에서 철수했습니다.
이상욱 2022년 02월 07일 -

울산 아파트 매매가격 -0.04% 하락...전세는 보합세
부동산 경기 침체로 울산의 아파트 매매 가격이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2월 마지막주 기준 주간아파트가격동향을 보면, 울산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 주보다 0.04% 하락했습니다. 한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변동률이 0.00%로 보합세를 기록했습니다.
설태주 2022년 02월 06일 -

울산 지난해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사고 큰 폭 감소
지난해 울산에서 전세보증금을 떼인 세입자 피해가 전년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사고는 모두 8건이었으며, 사고액수는 9억원으로, 2020년 33억원에 비해 액수가 크게 줄었습니다. 지역 부동산업계는 지난해 계약갱신청구권을 ...
이상욱 2022년 02월 06일 -

현대차 1월 판매, 내수·수출 동반 감소
현대자동차의 지난달 판매실적이 전년 대비 10% 이상 감소했습니다. 현대차는 지난달 판매가 국내 4만6천대, 해외 23만5천대 등 모두 28만2천여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1%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현대차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반도체 부품 수급난으로 이같이 판매가 줄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상욱 2022년 02월 05일 -

현대일렉트릭, 전력기기 전문기업 '플라스포' 인수
현대중공업그룹의 전력기기·에너지솔루션 계열사인 현대일렉트릭이 전력변환장치 전문기업인 플라스포를 인수했습니다. 2001년에 설립된 플라스포는 태양광과 풍력·연료전지 등 친환경 발전사업에 특화된 업체로, 현대일렉트릭은 플라스포의 지분 61.8%를 228억원에 인수했다고 공시했습니다. 현대일렉트릭은 플라스포의 전...
이상욱 2022년 02월 05일 -

울산 1월 소비자물가 3.6% ↑..신선식품 고공행진
울산지역 소비자 물가가 넉달째 3%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동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울산지역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3으로 전년 대비 3.6% 상승했습니다. 특히, 전기·가스·수도 요금은 2.9% 올라 2017년 9월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고, 신선식품인 딸기와 배추는 각각 48.9%와 44.2% 올랐습니다.
이상욱 2022년 02월 04일 -

최근 5년 울산 집값 13%올라..서울은 110% 상승
최근 5년간 울산지역 집값이 13% 올라 전국 평균보다 상승 폭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울산지역 집값은 최근 5년 간 13.52% 올라 최근 5년 전국 평균 집값 상승률 83.97%에 비해 현저히 낮았습니다. 특히, 최근 5년 서울지역 집값 상승률은 110.25%를 기록해, 울산보다 8배나 많이 올랐습니다.
이상욱 2022년 02월 04일 -

한국조선해양, 로로선 등 9척 7천억 원에 수주
한국조선해양이 설 연휴 동안 7천억 원이 넘는 선박을 수주했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유럽과 오세아니아 선사 4곳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 추진 로로선 2척과 LNG 벙커링선 1척 등 9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선박들은 현대미포조선에서 건조돼서 내년 하반기부터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입니다.
이상욱 2022년 02월 03일 -

지역 정유업계, 사상 최대 실적 내며 흑자전환
지역 정유업계가 유가 상승세에 힘입어 지난해 사상 최대의 실적을 달성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2조 3천 64억원을 기록해 2020년 1조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낸 지 1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고 밝혔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유가상승과 배터리 사업 호조로 지난...
이상욱 2022년 02월 03일 -

울산 신규 차량 등록 급감..전년 대비 13.4%감소
울산 지역의 신규 차량 등록대수가 크게 감소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신규 자동차 등록 대수는 3만7천여 대로 전년보다 13.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울산은 17개 시도 가운데 광주와 대전에 이어 세번째로 신규 차량 등록대수 감소폭이 컸습니다.
이상욱 2022년 02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