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전국
-

[포항] 임시주택 공급 차질 우려.."농번기 앞두고 근심"
◀ANC▶ 울진 삼척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을 임시 조립 주택을 공급할 계획인데, 마을 진입로가 좁거나 적절한 부지를 찾기 힘들어 이마저도 힘든게 현실인데요, 농번기를 앞두고 먼거리의 대피소를 오가야 되는 이재민들은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배현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울진 산불로 불탄 ...
유영재 2022년 03월 23일 -

[대구] 비료, 농자재, 인건비.."안 오른 게 없어요"
◀ANC▶ 국제 원자재 수급 불안 등의 여파로 비료와 면세유 등 농자잿값도 급등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여파로 인건비가 오른 데다, 고질적인 인력난은 여전해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서성원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END▶ ◀VCR▶ 경북 청도군의 농원입니다. 올해 재배한 딸기는 수확하면서 동시에 내년 ...
유영재 2022년 03월 21일 -

[여수] 여수시립미술관 건립추진...'예울마루 망마공원' 유력
◀ANC▶ 전남 여수시가 시립미술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건립장소는 2차례의 설문조사를 거쳐 예울마루 망마공원이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으며, 오는 2025년까지 280억 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최우식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여수시립미술관 건립과 관련해 가장 관심을 끌었던 부분은 건립장소입니...
유영재 2022년 03월 14일 -

[대구] 2022 세계가스총회 개최에 '빨간불'
◀ANC▶ 대구시가 공을 들여 온 2022 세계가스총회가 정상적으로 개최될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는 5월 100% 대면으로 대구에서 열릴 예정이었는데, 코로나19 확산과 우크라이나 사태로 빨간불이 켜진 건데요, 입국자들의 편리한 수속을 위해 정부로부터 코로나 격리 면제 혜택까지 따냈지만 기대했던 규모로 개최할...
유영재 2022년 03월 11일 -

[대전] 옛 장항제련소 '환골탈태' 나선다
◀ANC▶ 충남 서천군 장항읍에 있는 옛 장항제련소는 한반도를 병참기지화하려 했던 일제 수탈의 상징인데요. 이곳을 대규모 생태 공원으로 조성해 지역의 성장과 치유를 함께 도모하는 의미있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승섭 기자입니다. ◀END▶ 지난 1936년에 세워져 일제강점기 당시 일제의 자원 수탈 거점이었...
유영재 2022년 03월 11일 -

<여수>봄의 전령사 두꺼비...겨울잠 깨자마자 '로드킬'
◀ANC▶ 매년 이맘때가 되면 겨울잠에서 깨어난 두꺼비들이 자신이 태어난 곳으로 돌아가 알을 낳는데요. 광양에서는 매년 수백 마리의 두꺼비들이 알을 낳기 위해 도로를 건너다 죽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강서영 기자입니다. ◀VCR▶ 섬진강과 2km 떨어진 광양시 진상면의 한 도로. 도로 곳곳에 하얀 반점들이 찍혀...
유영재 2022년 03월 08일 -

<대구>"45년 농사에 이런 가뭄은 처음"
◀ANC▶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마늘과 양파와 같은 월동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는 걱정이 태산같습니다. 경북에서 마늘 최대 주산지인 영천에는 지난해 12월부터 지금까지 비다운 비는 단 한차례도 내리지 않았습니다. 마늘 농사를 한 한 농민은 45년 동안 이런 겨울은 처음이라고 말할 정도라고 합니다. 한태연 기자...
유영재 2022년 03월 08일 -

[대전] "광섬유 센서로 강도 예측" 건물 붕괴 막는다
◀ANC▶ 광주의 아파트 신축 현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붕괴 사고는 콘크리트가 충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작업을 해서 참사를 불렀습니다. 머리카락 굵기의 광섬유 센서로 콘크리트의 강도는 물론, 붕괴 사고의 조짐까지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김윤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지난달 ...
유영재 2022년 03월 01일 -

[목포] 컬러 소방호스로 화재현장 혼선 줄인다
◀ANC▶ 대형 화재가 발생하면 수십대의 소방차가 동시에 진화작업에 투입되는데요 모두 똑같은 색깔의 호스이다보니 구분이 어려워 진화작업에 차질이 빚어지기도 합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컬러 소방호스가 일선 현장에 투입되고 있습니다. 양정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지난해 5월, 무안...
유영재 2022년 02월 28일 -

[광주] 도시철도 2호선 "배차 간격 맞추기 어렵다"
◀ANC▶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설계부실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애초 설정한 배차 간격은 4분인데 시뮬레이션을 해 보니 최대 5분 30초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이 배차시간을 줄이려면 예산을 추가로 투입해야 합니다. 김영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VCR▶ 현재 공정률 31%로 한창 공사가 진행중인 광주 도시철도...
유영재 2022년 02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