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사회
-

울산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70명..오미크론 누적 확진자 102명
오늘(1/17) 울산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0명이 발생했습니다. 울산생활과학고 유도부 집단감염 관련 연쇄 감염자가 4명 추가로 발생해 이 집단 감염의 확진자는 26명까지 늘어났습니다. 또 해외 입국한 확진자 등 21명에게서 오미크론 변이가 확인돼 울산의 오미크론 변이 누적 확진자는 102명이 됐습니다.
유영재 2022년 01월 19일 -

'지방분권과 지역 지상파 방송 역할' 세미나 개최
넷플릭스 등 다매체 방송시대에 지방자치와 균형발전을 견인할 지역방송의 역할을 고민하는 정책세미나가 오늘(1/19) 오후 국회도서관에서 열렸습니다. 인하대학교 이기우 교수는 "지방분권으로 지역적 이슈가 중요해지면 지역방송에 대한 관심과 시청도 증가한다며 지역에 대한 관심이 지역방송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
유영재 2022년 01월 19일 -

UNIST, 수소생산 공정 종합평가 예측 기술 개발
울산과학기술원이 인공지능으로 수소생산 공정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에너지화학공학과 임한권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 머신러닝 기반 기술을 접목해 수소생산 공정을 평가한 결과 3단계 과정을 거치지 않고 한 번에 99% 이상의 정확도로 결과를 예측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최지호 2022년 01월 19일 -

울산 해양오염 유출량 소폭 상승.. 원인 90% 선체 파손
지난해 울산에서 발생한 해양오염사고로 인한 오염물질 유출량이 2020년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해경이 지난해 발생한 해양오염사고를 분석한 결과 발생건수는 전년보다 7건 감소해 22건이 발생했지만, 오염물질 유출량은 약 2천리터 증가한 4만1천 974리터로 확인됐습니다. 유출 원인으로는 선체 및 ...
정인곤 2022년 01월 19일 -

이브닝> 코로나 신규 확진자 41명 발생..유도부 집단감염 누적 27명
오늘(1/19) 울산에서는 현재까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1명 발생해 누적 확진자는 7천 541명으로 늘었습니다. 이들 중 28명은 기존 확진자의 접촉자이며, 3명은 해외입국자, 나머지 10명은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아 방역당국이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울산생활과학고 유도부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는 3명이 추가...
최지호 2022년 01월 19일 -

에쓰오일-사우디 아람코 MOU..블루수소 국내 공급
에쓰오일과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는 석유화학 신기술 등 대체 에너지 관련 협력을 강화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에쓰오일은 사우디에서 탄소 배출을 최소화한 블루 수소와 암모니아를 국내로 들여와 공급할 예정이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에도 공동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이상욱 2022년 01월 19일 -

울주군, 인구 30만 명 대비 용역 이달 중 착수
울주군이 인구 30만 명에 대비한 대응 전략 수립에 들어갔습니다. 울주군은 선바위지구와 다운2지구 등 공공주택 개발과 동해선 역세권 조성으로 울주군 지역 인구 증가가 예상돼 인구 증가에 대비한 용역을 이달 중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울주군 인구는 지난 2017년 22만 718명으로 처음 22만 명을 돌파한 이...
이상욱 2022년 01월 19일 -

강동 롯데리조트 15년 만에 원점 재시작
◀ANC▶ 북구 강동 롯데리조트 건설 사업이 15년 만에 원점에서 다시 시작됐습니다. 이 사업은 강동 개발을 이끌 동력으로 크게 환영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지역사회가 롯데의 사업 재개를 끌어내기 위해서 지나치게 저자세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유희정 기자. ◀END▶ ◀VCR▶ 지난 2007년 착...
유희정 2022년 01월 18일 -

농수산물도매시장 부지 개발 청사진 '복합타운 조성'
◀ANC▶ 2026년 울주군 청량읍으로 이전하는 남구 농수산물도매시장 부지에 대한 개발 청사진이 나왔습니다. 울산시는 일본 도쿄와 부산의 사례를 참고해 이 부지를 주거와 문화, 금융을 한데 갖춘 복합타운으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정인곤 기자. ◀END▶ ◀VCR▶ 일본 도쿄 도심 한복판. 4만 제곱미터 규모의 녹지가 펼...
정인곤 2022년 01월 18일 -

부울경 메가시티 청사 소재지 물밑 경쟁 치열
부산·울산·경남을 특별지방자치단체로 묶는 사업이 다음 달 출범을 목표로 추진되면서 청사 소재지가 어디로 정해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울산은 울주군, 부산은 기장군, 경남은 양산시와 김해시가 부울경 3개 시·도에서 접근성이 좋다는 이유 등으로 유력한 후보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부울경 특별지자체 청사 소재...
이용주 2022년 01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