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경제
-

올 상반기 태화강국가정원에 118만명 방문
올해 상반기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찾은 울산 주요 명소는 태화강국가정원으로 118만명이 다녀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지식정보시스템 주요관광지점 입장객 통계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울산 입장객 수 1위는 태화강국가정원이었고 2위는 십리대숲으로 39만8천명이 다녀갔습니다. 올해 상반기 ...
이용주 2023년 08월 23일 -

뿌리산업 특화단지에 울산 2곳 신규 선정
울산 지역에 산업통상자원부 뿌리산업 특화단지 2곳이 추가 선정됐습니다. 울산시는 울산테크노 산단 안 3D 프린팅 뿌리산업 특화단지와 미포 동반성장 특화단지가 추가 지정돼 2014년 매곡, 온산, 2021년 방어진 조선해양에 이어 총 5곳으로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뿌리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공동교육장을 만들거나 ...
이용주 2023년 08월 23일 -

'울산도시철도 1호선' 타당성재조사 통과
’울산도시철도 트램 1호선’이 정부의 타당성재조사를 통과하고 사업 추진을 확정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8/23) 오전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 타당성재조사 통과를 심의 의결했습니다. 태화강역부터 신복로터리까지 11km 구간을 수소전기 트램으로 연결하는 이 사업이 완료되면 '동해...
이용주 2023년 08월 23일 -

울산 소비심리지수 2개월 연속 100 웃돌아
부동산 경기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울산지역 소비심리가 2개월 연속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울산본부가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울산지역 소비자심리지수는 102.0으로 전달 대비 0.5p 하락했습니다. 소비심리가 100을 웃돌면 소비심리가 낙관적이라는 것을 의미...
이상욱 2023년 08월 23일 -

중국 발 위기경보..수출 5개월 연속 내리막
[앵커] 울산 수출이 석유화학제품의 대중국 수출 감소 등으로 인해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가 제조업에 이어 금융권까지 휘청이면서 울산의 대중국 수출 비중도 갈수록 줄어 울산 경제에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상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울산 수출은 67억 4천 만 달러로, 1년 전...
이상욱 2023년 08월 22일 -

울산 올 상반기 2030 아파트 매입 비중 최고치
올해 상반기 20~30대의 울산 아파트 매입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울산 아파트 매매 건수는 모두 5천 794건으로, 이 가운데 36.1%를 30대 이하가 사들였습니다. 이는 2019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역대 최고치로, 중구의 30대 이하 매입 비율이 41.5%로 가장 높...
이상욱 2023년 08월 22일 -

HD현대중공업 노사, 기본급 12만 원 인상안 잠정합의
HD현대중공업 노사가 오늘(8/22) 올해 임금협상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습니다. 노사는 기본급 12만 원 인상과 격려금 350만 원 지급에 합의했으며, 미래 조선산업 전환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의 찬반 투표는 모레(8/24) 열릴 예정이며, 투표 조합원의 ...
유희정 2023년 08월 22일 -

울산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업무협약
울산지역 건설산업과 국가산업단지 관련 단체들이 오늘(8/22) 오전 '울산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협약식에는 울산시와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울산공장장협의회, 울산석유화학단지·온산단지 공장장협의회 등 8개 기관·단체가 참여했습니다. 이번 업무협약은 공장장협의회 회원사 공사에 지역건설업...
이용주 2023년 08월 22일 -

유가·채소값 인상 ..울산 밥상물가 폭등
유가가 급등하고 있는 가운데 장마와 폭염으로 농작물 가격이 오르면서 밥상물가 관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울산 신정시장 수박 1개의 소매가격이 3만 4천 3백원으로, 한달 전에 비해 1만원 올랐으며, 시금치와 배추 가격도 한 달 새 60% 이상 급등했습니다. 오늘(8/21) ...
이상욱 2023년 08월 21일 -

동남권 비친족 가구 급증..가족 개념 변화
울산과 부산, 경남 등 동남권에서도 가족이 아닌 친구나 애인과 함께 사는 비친족 가구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동남권 비친족 가구 수는 2021년 기준 5만 6천 가구로, 2015년 2만7천 가구와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2021년 비친족 가구의 가구원 수도 12만명으로 2015년 6만명...
이상욱 2023년 08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