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경제
-

올해 울산 집값 10.71% 폭등.. 내년엔 조정되나
◀ANC▶ 올 한해 울산지역 주택 매매가격이 10% 이상 폭등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갔지만 내년엔 조정을 받을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거래 위축에 따른 가격 하락세를 예상하는 분석도 있는데, 대출규제 속에 기준금리 인상이 가장 큰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이상욱 기자. ◀END▶ ◀VCR▶ 올 한해 지역 부동산 시...
이상욱 2021년 12월 28일 -

울산 경제 성장률 -7.2%..소득 역외 유출 -9조
지난해 울산 경제 성장률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 지역내총생산, GRDP는 68조 6천억 원으로 2019년 대비 실질 성장률이 -7.2%를 기록했습니다. 다음은 제주 -6.6%, 경남 -4.1%, 부산 -2.9% 등의 순을 보였습니다.또한 소득 역외 유출을 나타내는 '지역외순수취본원소득'은 -9조 ...
이상욱 2021년 12월 28일 -

석유공사-세진중공업, 울산 남항사업 협력 MOU체결
한국석유공사와 세진중공업은 오늘(12/28) 에너지허브 울산남항사업 추진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에너지허브 울산남항사업은 한국석유공사가 울산신항 남항지역을 수소와 암모니아 등 그린에너지 물류 터미널로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이상욱 2021년 12월 28일 -

울산 내년 1분기 제조업 경기 전망 '어둡다'
울산상공회의소가 지역 제조업체 150곳을 대상으로 내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내년 1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가 전 분기 92보다 다소 하락한 89로 나타났습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의 경지전망지수가 74로 전 분기 대비 7포인트 하락했으며, 정유·석유 화학도 75로 전 분기에 비해 13포인트 떨어졌습니다. ...
이상욱 2021년 12월 28일 -

내년부터 산단 대개조 사업 추진..미포산단 4,900억 투입
울산시가 내년부터 산단 대개조 사업을 추진합니다. 시는 미포국가산단에 국비 등 4천 900억 원을 투입해 미래자동차와 친환경 스마트조선 산업을 육성할 예정입니다. 또 인근의 테크노산단에서 연구개발과 실증화 사업을 지원하고 매곡산단에 부품생산기지를 조성해 연계할 계획입니다.
유희정 2021년 12월 28일 -

오미크론 확산에 부·울 경기전망지수 하락
코로나19 변이 오미크론 확산 영향 등으로서비스업 경기전망 지수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부산·울산중소기업중앙회의'2022년 1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를 보면 경기전망지수가 77.6으로 전월 대비 5.3 포인트 하락했고, 특히, 서비스업을 비롯한 비제조업의 경기전망지수는 1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 ...
유영재 2021년 12월 27일 -

울산시민 자가 거주 비율 광역시 중 1위
울산시민 10명 중 6.4명이 자기 집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나 8대 광역시 가운데 자가거주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에서 자기 집 거주 가구가 63.9%로 8대 광역시 중 1위를 기록했습니다. 울산 다음으로는 광주 61.1%, 부산 59.7%, 대구 58.4% 등의 순서는 보였습니다.
이상욱 2021년 12월 27일 -

내년 울산 표준지 공시지가 7.76%↑
내년도 울산의 표준지 공시지가가 4년 만에 최대 폭인 7.76% 인상됩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내년도 공시가격에 따르면 내년 울산의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은 7.76%로, 올해 7.51%보다 0.25%p 높았습니다. 내년도 울산의 표준주택 공시가격 상승률도 5.04%로 올해보다 1.76%p 상승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1월 11일...
이상욱 2021년 12월 27일 -

올해 울산 수출 6년만에 최대 기록 달성 확실시
울산의 월간 수출액이 60억 달러대에 안착하며 올해 총 수출액이 2015년 수준을 넘어 6년만의 최대 기록을 달성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울산 수출은 전달 대비 28.9% 증가한 65억 달러를 기록해 석 달 연속 6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울산의 누적 수출액은 669...
이상욱 2021년 12월 26일 -

동남권 가구 평균 순자산 0.9% 감소
자산보다 빚이 더 많이 늘어나면서 울산과 부산, 경남 등 동남권의 가구 평균 순자산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동남권 소득·자산·부채 실태 분석 결과'에따르면 지난해 3월 기준 가구 평균 자산은 3억4천여 만원으로 전년 대비 0.3% 늘어난 반면가구당 부채는 5.3% 증가했습니다.이 때문에 ...
이상욱 2021년 12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