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경제
-

주택연금 가입자 꾸준히 증가‥ 지난해 200건 돌파
울산지역 주택연금 신규 가입자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 2020년 129건이었던 울산 주택연금 신규 가입자는 해마다 20건 안팎으로 늘어 지난해에는 207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주택연금은 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 제도로, 울산 가입자 평균 나이는 71살, 평균 주택가는 2억 7천만 원, 평균 ...
홍상순 2025년 03월 20일 -

HD현대 '조선 3사', 생산기술직 공개채용 실시
HD현대 조선 3사가 최대 160명 규모의 생산기술직을 공개채용을 실시합니다. 생산기술직은 그동안 사내 기술교육원 수료생이나 2년 이상 협력사 경력직을 대상으로 채용해왔지만, 이번에는 경력과 전공에 제한을 두지 않았습니다. HD현대는 지속적인 성장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 기술 인력 육성이 꼭 필요하다고 ...
홍상순 2025년 03월 20일 -

울산 혼인건수 10% 증가‥ 이혼은 소폭 감소
지난해 울산지역 혼인건수는 4,726건으로 1년 만에 10.6% 늘어났고, 이혼은 1,977건으로 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의 2024년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울산의 초혼 연령은 남자는 33.4세 여자는 31.4세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고, 외국인과의 혼인 비율도 8.7%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지난해 울산 이혼건수는...
이돈욱 2025년 03월 20일 -

작년 울산 창업기업 1만 8천곳 '역대 최저'
지난해 울산지역 신규 창업기업 수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6년 이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집계된 지난해 울산지역 창업기업 수는 1만 8천700여 곳으로, 1년 만에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외 경기 둔화 속에 소비 위축과 저출산, 고령화 지속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
홍상순 2025년 03월 20일 -

울산 업종 감소 1위 '독서실'‥ 증가 1위 '펜션'
울산에서 최근 5년 사이 독서실이 가장 많이 줄고, 펜션 창업 비율이 가장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세청 100대 생활업종 통계에 따르면 울산에서는 독서실과 호프주점, pc방 등이 20% 이상 감소했고, 펜션·게스트하우스와 통신판매업, 헬스와 피부관리업이 1.5배 이상 늘었습니다. 한편 지난해 12월 기준 울산 ...
이용주 2025년 03월 20일 -

미 군함 MRO 첫 도전‥ 2·3척 수주 목표
[앵커]HD현대중공업이 미군 함정 MRO 입찰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올해는 2,3척을 수주해 작업 표준을 정립하고 점차 사업 참여를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홍상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HD현대중공업이 올해 첫 발주된 미 해군 군수지원함 MRO 입찰에 참여했습니다. 지난해 미 함정 MRO 사업 자격을 확보한 ...
홍상순 2025년 03월 19일 -

2023년 울산 부가가치율 22%‥ 전국 최저
재작년 울산의 부가가치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돼 울산은 투자 대비 사업 수익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서 밝힌 2023년 시도별 부가가치율을 보면 울산은 22.1%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으며 제주와 강원, 부산, 경기 등 4곳은 30%를 넘어섰습니다. 울산은 제조업 비중이 높고 ...
홍상순 2025년 03월 19일 -

지난해 울산 지자체 3곳 목표 고용률 달성
동구와 북구, 울주군 3개 지자체가 지난해 목표로 세운 고용률을 초과 달성했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동구지역의 15살에서 64살까지 고용률은 66.7%, 북구64.3%, 울주군 65.7%로, 목표치보다 1.1~2.3%p 높았습니다. 울산 전체로 보면 고용률은 65.9%로, 울산시 목표보다 0.5%p 낮아 2년째 목표를 달...
홍상순 2025년 03월 19일 -

울산 영화 관람객 수 코로나 이후 47% 감소
울산의 영화 관람객수가 해마다 줄어들면서 불황을 겪고 있는 일부 멀티플렉스 업체가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영화 관객수는 255만7천여명으로, 코로나19 유행전인 2019년에 비해 47% 줄었습니다. 이는 온라인 플랫폼이 보편화되면서 영화를 보는 빈도가 줄었고 체감적으로...
홍상순 2025년 03월 19일 -

2월 자동차 수출 역대 최대‥ 4월부터 고비
지난달 자동차 수출이 60억 달러를 넘어서며 2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미국의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를 앞둔 일시적인 반등일 가능성이 높아 자동차업계가 걱정하고 있습니다. 일부 업체들이 할인 행사를 통해 밀어내기 수출에 나섰고 관세 여파로 자동차 판매가격이 오를 것이란 전망 탓에 미국 소비자들이 구매...
홍상순 2025년 03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