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사회
-

연휴 마치기 전 코로나 검사 행렬..오늘 신규 확진 269명
울산지역 임시선별검사소 6곳이 오늘(2/2) 모두 운영되면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는 행렬이 검사소마다 길게 이어졌습니다. 울산시는 타지 방문이나 가족 모임을 했던 시민들은 일상으로 복귀하기 전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이 많이 몰렸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오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69명이 발생했습...
유영재 2022년 02월 02일 -

[청년 일자리 연속기획①] "세상에 필요한 아이템 고민" 창업 비결
◀ANC▶ 울산MBC는 울산 청년의 일자리 문제를 고민하는 연속기획을 시작합니다. 첫 순서로 대학교 창업 동아리 활동을 거쳐 지금은 자신의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청년들의 성공 비결과 창업 매력을 들어봤습니다. 이용주 기자 ◀VCR▶ 울산과학대의 한 창업동아리가 개발한 자동방역시스템 입니다. 출입문에 설치한 포...
이용주 2022년 02월 02일 -

"울산시립미술관 일대 문화특화지역 조성해야"
울산시립미술관이 위치한 원도심 지역을 '문화특화지역'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울산연구원 권태목 연구기획팀장은 소규모 갤러리 등과 연계한 시립미술관 이미지 확장사업을 통해 입장객들이 원도심 곳곳을 방문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등 원도심 전체가 시립미술관과 관련이 있는 공간임을 나타낼 수 있어...
유영재 2022년 02월 02일 -

중구, 학성산 유적 문화재 조사 본격화
울산 중구청이 충의사 뒤편 학성산 유적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문화재 조사를 벌입니다. 해당 부지는 앞서 지난 2019년 조사에서 토성 벽과 고려 시대 기와 무지가 확인되면서 현재까지 위치가 알려지지 않은 신라 시대 계변성이나 고려 시대 고읍성일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용주 2022년 02월 02일 -

울산 토양오염실태 65곳 중 1곳 기준 초과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지역 내 토양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65개 지점 중 남구의 공장폐수 유입지역인 1곳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했습니다. 연구원은 이 곳에서 중금속인 아연이 기준을 초과했으며 토지 소유주가 정밀조사를 해 또다시 기준을 초과할 경우 오염토양 정화작업에 들어갈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용주 2022년 02월 02일 -

북구 폐선부지 활용사업 다음 달부터 시작
북구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활용사업이 다음 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입니다. 북구는 철도공단이 요구한 보완사항을 반영해 미세먼지 차단 숲 조성과 도시재생사업 등을 포함한 유휴부지 제안서를 철도공단에 제출했습니다. 폐선부지 개발 사업은 2028년 마무리 될 예정입니다.
정인곤 2022년 02월 02일 -

2025년 율동공공주택지구 초등학교 신설 확정
택지개발이 진행 중인 북구 율동공공주택지구에 초등학교 신설이 확정됐습니다. 울산시교육청은 오는 2025년 3월 개교를 목표로 가칭 울산효문초등학교를 신설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율동공공주택지구는 인근에 2km 이상 떨어진 초등학교 밖에 없어 학생들의 통학 불편이 예상돼 왔습니다.
정인곤 2022년 02월 02일 -

코로나 대유행 속 설날.. 간소하고 차분하게
◀ANC▶ 설 연휴를 앞두고 코로나19 유행이 거세게 확산되면서 이번 명절도 간소하게 지낼 수밖에 없었는데요, 설 당일인 오늘(2/1)도 시민들은 이동과 모임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조상을 기렸습니다. 유희정 기자. ◀END▶ ◀VCR▶ 명절마다 성묘객들과 방문 차량으로 빈틈없이 붐벼야 할 울산공원...
유희정 2022년 02월 01일 -

오늘 신규확진 298명.. 내일 선별검사소 전부 운영
오늘(2/1) 울산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98명 발생했습니다. 확진자 중 272명은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25명은 기존 확진자의 접촉자로 파악됐으며 1명은 해외 입국자입니다. 한편 연휴 마지막날인 내일(2/2)은 울산지역의 임시선별검사소 6곳이 모두 운영됩니다. 울산시는 타지 방문이나 가족 모임을...
유희정 2022년 02월 01일 -

부울경 메가시티 2월 출범 무산
부산·울산·경남 특별지방자치단체가 사실상 이번달에 출범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메가시티 사무소 위치를 놓고 3개 시·도가 갈등을 빚으면서 규약안 합의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울산과 경남은 서로 자신의 행정구역에 메가시티 청사를 둬야 한다는 주장이고 부산시는 두 시도의 합의에 따르겠다는 입장입니다. 부울...
홍상순 2022년 02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