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경제
-

울산 주요 기업체, 추석 연휴에 최장 열흘 쉬어
울산지역 주요 기업들이 올해 추석 명절에 최장 열흘간 연휴에 들어갑니다.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는 추석 연휴 다음 날인 오는 10일부터 임금 및 단체협상 타결에 따른 특별휴가에 들어가 10일간 쉬게 됩니다. 하지만 현대자동차는 오는 10일 정상 근무하고 장치산업의 특성상 공정을 쉴 수 없는 석유화학업체들의 교...
조창래 2025년 10월 03일 -

9월 소비자 물가 2.3%↑‥ 쌀값 16.8% 급등
지난달 울산 소비자물가가 2.3% 상승하며 1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농축수산물이 3.6% 올라 상승을 주도했고 공업제품 2.3%, 서비스 2.2%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특히 가공용 쌀 소비 증가와 정부의 과잉 매수 지적 속에 쌀값이 16.8% 급등했습니다.
홍상순 2025년 10월 02일 -

울산 아파트 분양 전망‥ 서울 이어 2위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이달 울산지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달과 같은 107.1로 서울 다음으로 높았습니다. 전국 평균은 전달에 비해 15.9p 대폭 상승했는데 울산은 지난달 크게 급등해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최근 수도권 핵심 지역 집값 재상승이 지방 주요 도시로 확산될 수 있다는 기대 심리가...
홍상순 2025년 10월 02일 -

연휴 앞둔 '휘발유 가격'‥ 울산 전국 최저
고향 방문 등 이동이 많아지는 연휴를 앞두고 울산 지역 휘발윳값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울산지역 평균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1,631원으로 대구와 함께 전국에서 가장 낮았습니다. 경유 가격은 리터당 1,513원으로 1,500원인 대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았습니다...
이돈욱 2025년 10월 02일 -

추석 화폐발행액 전년대비 7% 증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부산·울산 지역의 화폐 발행액이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에 따르면 금융기관을 통해 부산과 울산 지역에 공급된 순발행액은 5천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7% 증가했습니다. 화폐 발행액이 늘어난 것은 지난해 추석보다 연휴 기간이 길어지면서 현금을 미리 확보하려는 ...
이다은 2025년 10월 02일 -

북극 항로 개척‥ '친환경 벙커링' 특화
[앵커]올해말 부산으로 이전하는 해양수산부는 내년부터 북극 항로 시범운항에 들어갑니다. 부산이 최대 수혜지로 떠올랐는데 울산도 이런 기회를 놓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울산항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홍상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울산신항의 한 부두. 드라이벌크선에 주황색 벙커링 호스가 연결돼 있...
홍상순 2025년 10월 01일 -

고려아연 헤마타이트 국가핵심기술 지정
고려아연이 보유한 헤마타이트 공정 기술이 오늘(10/1) 국가핵심기술로 지정 고시됐습니다. 헤마타이트 공정은 아연 정광에서 불순물을 제거해 고순도 아연을 제련하는 공정 기술로 고려아연이 유일하게 상용화했습니다. 지난해 11월 고려아연의 이차전지 전구체 제조 기술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 고려아연...
홍상순 2025년 10월 01일 -

울산시,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 공모 선정
울산시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한 지역 주도형 인공지능 대전환 사업 공모에 선정됐습니다. 이 사업은 AI 활용률이 낮은 중소기업에 AI 기술 도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6년까지 국비 140억 원 등 233억 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지원 분야는 AI 허브와 컴퓨팅 센터 구축, AI 솔루션 보급, 인재 양성 등 4개 분야입니다...
최지호 2025년 10월 01일 -

추석 연휴 백화점·대형마트 1~2일 휴무
긴 추석 연휴 동안 울산지역 백화점은 이틀, 대형마트는 하루만 휴무를 실시합니다. 현대와 롯데백화점은 5일과 6일에 휴무를 실시하고, 현대백화점 동구분점은 6일과 7일에 영업을 중단할 예정입니다. 코스트코는 추석 당일, 다른 대형마트들은 8일 하루만 휴무를 실시하며 홈플러스 동구점만 12일에 문을 닫습니다.
홍상순 2025년 10월 01일 -

"AI 수도 울산"‥ 국가 컴퓨팅센터 유치 시동
[앵커]AI 수도를 선포한 울산시가 국가 컴퓨팅센터 유치전에 도전장을 내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비수도권에 컴퓨팅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는데요. 울산시는 전력 공급망에 강점이 있는 입지 조건을 앞세워 우위를 점한다는 계획입니다. 최지호 기자. [리포트]국가 인공지능 컴퓨팅센터는 인공지능 3...
최지호 2025년 09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