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경제
-

울산 가구 주택소유율 64%‥ 전국 최고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울산 가구는 64%, 무주택 가구는 36%로, 주택 사정이 가장 나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4년 주택소유통계 결과'를 보면 울산지역 46만 2천 가구 가운데 64%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어 전국 평균보다 7.1%p 높았습니다. 개인이 소유한 울산 주택 비중은 전국 평균보다 4.6%p 높...
홍상순 2025년 11월 14일 -

청년공공임대주택 '유홈 양정' 입주자 모집
울산시가 청년공공임대주택 '유홈 양정'의 준공을 앞두고 입주자를 모집합니다. 입주 자격은 공고일인 오늘(11/14)을 기준으로 울산에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으로 소득과 자산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유홈 양정은 지상 5층 연면적 620㎡ 규모로 18가구가 공급되며, 오는 28일까지 서류 접수를 받아 내년 2월에 당첨자...
최지호 2025년 11월 14일 -

울산 내년 오피스텔·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하락'
내년도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가 전국적으로 동반 하락한 가운데 울산은 평균보다 낙폭이 더 컸습니다. 국세청 고시를 보면 내년도 울산지역 오피스텔 기준시가는 올해보다 3.43%, 상업용 건물은 2.97% 하락했습니다. 전국 평균은 오피스텔 0.63%, 상업용 건물 0.68% 하락한 가운데 전국에서 둘 다 상승한 곳은 ...
홍상순 2025년 11월 14일 -

울산 쌀 생산 4.9% 감소‥ 생산성도 저하
올해 울산의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4.9% 감소하며 대전 다음으로 감소 폭이 컸습니다. 국가테이터처에 따르면 올해 울산의 벼 재배면적은 3천349ha로 지난해보다 4.2% 줄었고, 쌀 생산량도 지난해보다 4.9% 감소한 1만 5천546톤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은 경작지 100㎡당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한 ...
홍상순 2025년 11월 14일 -

상장기업 62.5%, 자사주 소각 의무화 반대
대한상공회의소가 자사주를 10% 이상 보유한 104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62.5%가 자사주 의무 소각에 반대했습니다. 반대 이유는 사업 재편 등 다양한 경영전략에 자사주 활용 불가가 29.8%로 가장 많았고 경영권 방어 약화 27.4%, 주가 부양 악영향 15.9% 등의 순을 보였습니다. 현재 국회에는 기업이 매입...
홍상순 2025년 11월 13일 -

울산 주택사업경기전망 큰 폭 하락
'10.15 주택 시장 안정화 대책'의 여파로 이달 주택사업경기전망도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1월 울산지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에 비해 28.6p 떨어진 76.9로, 광역시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10.15 대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수도권은 31p 하락한 64.1을 기록했고, 비수...
홍상순 2025년 11월 13일 -

울산시, 생활임금 12,238원 결정‥ 인상률 3.84%
울산시가 내년도 생활임금 시급을 1만 2천238원으로 결정했습니다. 울산시는 올해 1만 1천785원보다 3.84% 오른 생활임금을 내년부터 울산시가 출자·출연한 공사와 공단 근로자 2천 75명에게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울산시는 울산 생활임금이 고용노동부가 고시한 최저임금보다 19%가량 높고, 전국에서 가장 높은 ...
최지호 2025년 11월 13일 -

울산시, 수중 데이터센터 구축모형 개발 착수
울주군 서생면 앞바다에 수중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연구가 본격화됩니다. 울산시는 오늘(11/13) 9개 연구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수중 데이터센터 구축모형 개발과 실증을 위한 원천 기술 확보에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수중 데이터센터는 바다 밑 20m 지점에 서버 10만 대를 저장하는 시설로 냉각 장치를 최소화할 수 있...
최지호 2025년 11월 13일 -

울산시-반도체 기업, AI 생태계 조성 협약
울산시가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과 AI 신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울산시는 오늘(11/13)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반도체 기술 기반 기업과 지역 대학 등 5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제조 AI 산업 생태계 구축에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AI 선도 기업들은 산업군 전환을 위해서는 인재 양성과 기...
최지호 2025년 11월 13일 -

10월 소상공인 경기체감↑‥ 울산 최대 상승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상생페이백 지급 등 정부의 소비진작 정책에 힘입어 소상공인들이 느끼는 체감 경기가 나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10월 소상공인 경기동향지수는 79.1로 여전히 기준치 100를 밑돌고 있지만 최근 5년중에 가장 높았습니다. 울산지역 소상공인 경기동향지수는 81.3으로 전달...
홍상순 2025년 11월 12일